본문 바로가기
기타/과학사전

[과학과 기술의 발전] 컴퓨터와 인터넷의 등장

by 축구 도감 2023. 4. 1.

1. 컴퓨터의 등장

컴퓨터는 그 시작은 더뎠지만 점차 속도와 복잡성을 더해가면서, 초당 수십억 건의 정보를 처리하고 인간의 현실적 능력 범위를 넘어서는 문제를 해결하게 되었다. 최초의 계산도구는 단순했다.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된 막대에 구슬을 올려 만든 주판은 적어도 기원전 1100년부터 기초적인 계산에 이용되었다.르네상스 시대에는 레오나르도 블레즈 파스칼에 이르는 발명가들이 덧셈 및 뺄셈용 도구를 설계하거나 제작했다. 그러나 프로그래밍된 명령을 해석하고, 정보를 저장하며, 이전 결과에 따라 각기 다른 절차를 수행하는 최초의 기계는 1800년대에 만들어졌다. 프랑스 견직공인 조셉 마리 자카드는 복잡한 디자인을 처리하기 위해 천공카드를 사용하는 베틀을 개발했다. 1820년대에 영국인 찰스 배버지는 증기기관을 동력으로 1천 개의 큰 숫자를 저장하고, 천공카드 명령을 해독하며, 결과에 따라 처리절차를 바꾸고, 작업 결과를 프린터로 전송하는 해석기관을 구상했다. 배버지의 놀라운 기계는 끝내 완성되지 못했으나, 1930년대부터 하워드 에어컨과 존 빈센트 아타나소프 같은 발명가들이 진공튜브와 전기회로를 이용해 점차 강력한 기계를 만들어내기 시작했다. 명령을 이진코드로 표현하여 모든 정보를 1과 0의 조합으로 간소화하는 실험도 병행되었다. 이런 노력은 제2차 세계대전 시기에 앨런 튜링의 암호해독기 콜로서스에서 정점을 이루었다. 결국 1946년에 현대식 컴퓨터 애니악이 완성되었다. 1964년에는 IBM의 최초 메인프레임 사무실 컴퓨터를 필두로, 직접회로를 이용한 컴퓨터 상용화가 본격화되었다. 10년 후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등장하여 컴퓨터가 더욱 작고 빨라졌다,

가상현실

노인 전용 아파트를 거닐다 보면, TV 앞에 모여서 '볼링'이나 '복싱'을 하는 사람들을 보게 된다. 이들은 실제로 스포츠를 하듯이 움직이지만, 실은 휴대용 기기를 사용해 닌텐도 위 게임의 캐릭터를 움직인다. 가공의 세계를 창조하려는 인간의 욕망은, 영화를 비롯해 인간의 감각을 조작하려는 수많은 20세기 시험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컴퓨터는 사용주체에게 정보를 보내고 명령을 받아 해석하는 글러브나 헬멧 등의 기기를 개발하여 인간이 더욱 인공세계에 빠져들게 만들다. 초기에는 비행 및 전투 시뮬레이션에 응용되어 군대의 관심을 끌기도 했다. 오늘날의 가상현실은 더욱더 광범위하게 발전하고 있다. 위 같은 제품은 인간의 감각기관과 기계를 직접적으로 연결시키고, 세컨드라이프 같은 대규모 다중 게임은 수천 명의 온라인 아바타를 통해 상호작용하는, 고도로 발달된 온라인 공동체를 구축한다.

2. 인터넷

전 세계 컴퓨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간의 네트워크'는 1950년대에 기계가 점차 복잡해지면서 '어떻게 하면 대형 조직의 많은 사용자들이 컴퓨터 자원을 공유할 수 있을까?라는 문제 제기에서 시작되었다. 프로그래머들은 정보를 작은 패킷으로 쪼개어 다양한 회로를 통해 전송하는 방법을 발견했고, 컴퓨터 속도가 빨라지면서 패킷을 재조립하는 속도도점점 빨라졌다. 1950년대에 네트워크를 처음 활용한 것은 국방산업과 항공업계였다. 미국 국방부는 새로운 컴퓨터 기반 명령 및 제어 시스템을 도입했고, 아메리칸항공은 IBM과 팀을 이루어 세이버 승객예약 시스템을 개발했다. 1969년에 미국 국방부의 고등연구계획국은 오늘날 인터넷의 전신인 아르파넷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미국 정부와 대학의 연구용 컴퓨터들은 처리능력과 정보를 공유하게 되었다. 아르파넷 프로그래머들은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기술과 단순메일 전송프로토콜이나 파일전송 프로토콜 등 기본적인 메시지 및 파 일 전송도구를 개발했다. 1970년대에 DARPA는 컴퓨터 네트워 크간의 통신격인 인터넷팅(intemeting) 연구를 의뢰했다. 이에 연구자 빈턴 서프와 로버트 칸은 두 가지 중요한 기술을 개발했다. 데이터 패킷을 수집 및 재조립할 때 필요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상호 연계된 기기에 숫자형 주소를 부여하여 데이터를 정확한 목적지로 전송하는 IP(Intemet protocol) 기술이었다. 1980년대가 되자 다른 정부기관과 대학들이 이 시스템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미국 국립과학재단은 5개 대학에 슈퍼컴퓨터 센터를 세우고, 이들을 연결하는 전국적인 백본망을 구축했다. 이 시스템은 점차 상업적 네트워크에 개방되었고, 현재는 주로 자식별 NPIeNCk Access Point, 네트워크 접속 포인트들을 관리한다. 한편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숫자 IP주소는 비영리기관인 국제인터넷 주소관리기구(CANY)에서 관장한다. 접속량이 늘었을 뿐 아니라 사용 편의성도 개선되었다. 스위스 연구자 팀 버너스 리는 1990년대 초반에 그래픽, 이미지, 텍스트 등 다양한 요소를 페이지 단위로 모아 다른 페이지와 링크 및 참조시키기 위한 HTTP를 개발했다. 월드와이드웹(WWW)이 날로 확대되면서 페이지들은 URL(Univeral Reoute Locutor)이라는 문자 주소로 식별하게 되었다. 일리노이대학에서는 마크 엔드리슨이 세계 최초의 웹 브라우저인 모자이크(Mosle)를 개발했다. 브라우저란 컴퓨터 사용자가 페이지를 열람하고 마우스를 사용해 인터넷을 향해하도록 지원하는 소프트웨어다.

인터넷 서핑하기

컴퓨터의 인터넷 브라우저에 웹사이즈 주소를 입력하면, 브라우저는 전 세계 컴퓨터들과 정보 교환을 시작하여 해당 사이트의 숫자 IP주소를 찾아낸 다음 그 주소를 호스팅 하는 컴퓨터에 접속한다. 사용자 요청 정보는 우선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 서버로 흘러간다. 거기에서 다시 네트워크끼리 서로 연결하거나 더욱 큰 백본망에 접속하는 더 넓은 NAP으로 나아간다. 백본망이란 인터넷의 근가이 되는 광섬유 케이블을 의미한다.